화살표 함수는 function
대신 =>
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간결하게 함수를 선언할 수 있다.
또한 화살표 함수는 익명 함수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함수 표현식을 사용한다.
const foo = () => {...} //매개변수가 없을 때
const foo = x => {...} //매개변수가 하나일 때
const foo = (x, y) => {...} //매개변수가 여러 개일 때
const foo = x => { return x; }
const foo = x => x; // 함수의 블록이 한줄이라면 중괄호와 return을 생략
const sum = (x, y) => {
return x + y;
}
console.log(sum(1, 2)); //3
//ES5
var arr = ['JS', 'Java', 'Go'];
var foo = arr.map(function(element) {
return { 'Lang' : element };
});
console.log(foo); //[{Lang: "JS"}, {Lang: "Java"}, {Lang: "Go"}]
//ES6
const arr = ['JS', 'Java', 'Go'];
const foo = arr.map(element => {
return {'Lang' : element};
});
console.log(foo); //[{Lang: "JS"}, {Lang: "Java"}, {Lang: "Go"}]
function
키워드로 선언했을 때와 =>
로 선언했을 때의 가장 큰 차이는 this
바인딩에 있다.
ES5에서 function
키워드를 사용했을 때 this 바인딩의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.
자세한 내용은 함수의 호출과 this를 참고하면 된다.
var lang = 'Korean';
var obj = {
lang : 'English',
outerFunc : function() {
var that = this;
console.log('outerFunc : ', this.lang);
innerFunc1 = function() {
console.log('innerFunc1 : ', that.lang);
innerFunc2 = function() {
console.log('innerFunc2 : ', that.lang);
}
innerFunc2();
}
innerFunc1();
}
}
obj.outerFunc();
/*
outerFunc : English
innerFunc1 : English
innerFunc2 : Engilsh
*/
위와 같이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할 때 그 메서드 내의 내부 함수의 경우에는 this
가 전역 객체에 바인딩된다.
코드를 보면 obj
객체에 바인딩된 this
를 원하므로 변수 that
에 this
를 할당하고 내부 함수에는 this
대신 that
을 사용하여 원하는 값을 출력하고 있다.
위에서 보았듯이 일반 함수는 함수의 호출 방식에 따라 this가 동적으로 바인딩이 이뤄진다.
하지만 화살표 함수에서는 this가 무조건 상위 스코프의 this를 가리킨다.
즉 정적인 방식으로 this가 바인딩이 되는데 이를 Lexical this 라고 한다.
위의 소스를 화살표 함수를 이용해서 바꾸면 var that = this;
라는 구문을 쓸 필요가 없다.
const lang = 'Korean';
const obj = {
lang : 'English',
outerFunc() { //ES6의 축약 메서드 표현
console.log('outerFunc : ', this.lang);
innerFunc1 = () => {
console.log('innerFunc1 : ', this.lang);
innerFunc2 = () => {
console.log('innerFunc2 : ', this.lang);
}
innerFunc2();
}
innerFunc1();
}
}
obj.outerFunc();
/*
outerFunc : English
innerFunc1 : English
innerFunc2 : Engilsh
*/
화살표 함수는 위에서 본 것 처럼 정적으로 this를 바인딩(Lexical this)를 지원하기 때문에 콜백 함수로 쓰기 매우 편하다. 하지만, 주의해서 써야할 경우가 몇 가지 있다.
const btn = document.getElementById('submitBtn');
btn.addEventListener('click', () => {
console.log(this); //Window
});
위에서 볼 수 있듯이 addEventListener
의 콜백 함수를 화살표 함수로 선언하면 this
는 window
에 바인딩되므로 그냥 일반함수를 사용하여 선언하여야 한다.
객체의 메서드를 선언할 때, 화살표 함수를 쓰면 그 객체에 this가 바인딩되지 않고 전역(window)에 바인딩된다.
var lang = 'Korean';
const obj = {
lang : 'English',
foo : () => {
console.log('outerFunc : ', this.lang);
}
}
obj.foo(); //outerFunc : Korean
위에선 English가 나온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.
하지만, foo
선언할 때 화살표 함수를 사용했고 이에 따라 상위 컨텍스트인 window
에 this
가 바인딩 되기 때문에 결과는 Korean이 나온다.
따라서 원하는 결과가 English라면 축약 메서드 표현법으로 정의하는 것이 맞다.
var lang = 'Korean';
const obj = {
lang : 'English',
foo () {
console.log('outerFunc : ', this.lang);
}
}
obj.foo(); //outerFunc : English
프로토타입 객체에 메서드를 화살표 함수로 정의하면 객체의 메서드에 화살표 함수로 선언할 때와 같이 this
가 window
에 바인딩된다.
const devleoper = {
name: 'BKJang',
};
Object.prototype.renderData = () => console.log(this.name);
devleoper.renderData(); //undefined
결론부터 말하면, 화살표 함수는 prototype
프로퍼티를 갖고 있지 않다. 따라서 생성자 함수를 선언할 때 화살표 함수를 쓰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다.
const Person = (name) => {
this.name = name;
}
const jang = new Person('BKJang'); //Uncaught TypeError: Person is not a constructor